[체호프 단편선]을 읽고 1
아직 몇 안 읽은 목차 중 맨 앞의 <관리의 죽음>은 내게 헛웃음을 유발하는 재미있는 이야기였다.
주인공 체르뱌코프가 오페라 극장에서 장군의 뒷통수에 대고 재채기를 하는 바람에 생긴 아주 사소한 문제로 바보 같은 사과를 반복하는 내용이다.
그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부서는 아니지만 높은 직급의 장군에게 무례를 범한 것이 상당히 폐라고 느낀 듯 했지만, 그의 계속되는 사과는 장군과 나를 포함한 보는 이들에겐 우습고 답답한 행동이었다.
흔히 지금의 사회에서 '눈치 없는 놈'으로 불리기 적합한 체르뱌코프.
사실 저런 성격의 사람들은 가끔 가다 한 두 명씩 있다. 그 사람들은 도대체 뭔 생각으로 저렇게 철없이 굴까.. 생각했는데 체르뱌코프를 보니 그저 두 사람 간의 오해였을 것 같기도 했다.
사람 간의 오해는 어떠한 결과를 불러올 지 모르는 폭탄 같은 존재다. 나도 항상 인간관계로 힘들 때마다 주된 원인이 오해였던 적이 많다.
오해가 생겼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나는 자존심이 세서 쉽게 미안하다는 말이 잘 안 나오는 성격이다. 고치고 싶은 성격 중 하나이다.
소중한 사람들에게도 자존심 세우는 행동은 정말 평생 후회할 일인 것 같다. 주위의 사랑하는 이들에게는 괜한 고집 부리지 말고 어서 화해하기!
그리고 백 번이고 천 번이고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 생각하기는 필수다. 체르뱌코프가 장군의 입장이 되어봤을 때 '아, 내가 너무 귀찮게 한 건가? 이제 더 이상 사과하면 더 실례이겠다.'라고 생각하기만 했다면 마지막의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이 두 가지만 항상 생각하고 있다면 사람 간의 오해는 쉽게 커지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사실 이 책의 내용처럼 상대방이 자신의 생각을 말을 안 해주면 뭐 어떻게 할 수가 없다. 답답하기만 할 뿐.
장군처럼 저렇게 화만 내는 것보다 "나는 별로 신경 안 쓰여요. 벌써 다 잊었는걸요."라고만 해 줘도 끝날 일인데. 아마 장군 때문에 내가 그렇게 답답했나 보다.
사람 사이의 오해는 이 책처럼 우스운 오해일 수도, 내 경험처럼 상처가 되는 오해일 수도 있다.
오해가 생겼을 때 한 번만이라도 상대의 입장을 고려해봤으면 좋겠다. 나는 그 안 좋은 습관 때문에 많이 다퉜지만, 반대로 나와 부딪혔던 이들은 대부분 내가 어떤 생각이었는지를 몰랐던 경우였다.
나처럼 인간관계에 아주 예민하고 말 한 마디로 기분이 오르락 내리락하는 사람에게 '오해'나 '다툼'은 치명타이다. 사람들이 위의 두 가지를 늘 기억하며 서로 간에 건강한 관계를 유지했으면 좋겠다.
주인공 체르뱌코프가 오페라 극장에서 장군의 뒷통수에 대고 재채기를 하는 바람에 생긴 아주 사소한 문제로 바보 같은 사과를 반복하는 내용이다.
그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부서는 아니지만 높은 직급의 장군에게 무례를 범한 것이 상당히 폐라고 느낀 듯 했지만, 그의 계속되는 사과는 장군과 나를 포함한 보는 이들에겐 우습고 답답한 행동이었다.
흔히 지금의 사회에서 '눈치 없는 놈'으로 불리기 적합한 체르뱌코프.
사실 저런 성격의 사람들은 가끔 가다 한 두 명씩 있다. 그 사람들은 도대체 뭔 생각으로 저렇게 철없이 굴까.. 생각했는데 체르뱌코프를 보니 그저 두 사람 간의 오해였을 것 같기도 했다.
사람 간의 오해는 어떠한 결과를 불러올 지 모르는 폭탄 같은 존재다. 나도 항상 인간관계로 힘들 때마다 주된 원인이 오해였던 적이 많다.
오해가 생겼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나는 자존심이 세서 쉽게 미안하다는 말이 잘 안 나오는 성격이다. 고치고 싶은 성격 중 하나이다.
소중한 사람들에게도 자존심 세우는 행동은 정말 평생 후회할 일인 것 같다. 주위의 사랑하는 이들에게는 괜한 고집 부리지 말고 어서 화해하기!
그리고 백 번이고 천 번이고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 생각하기는 필수다. 체르뱌코프가 장군의 입장이 되어봤을 때 '아, 내가 너무 귀찮게 한 건가? 이제 더 이상 사과하면 더 실례이겠다.'라고 생각하기만 했다면 마지막의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이 두 가지만 항상 생각하고 있다면 사람 간의 오해는 쉽게 커지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사실 이 책의 내용처럼 상대방이 자신의 생각을 말을 안 해주면 뭐 어떻게 할 수가 없다. 답답하기만 할 뿐.
장군처럼 저렇게 화만 내는 것보다 "나는 별로 신경 안 쓰여요. 벌써 다 잊었는걸요."라고만 해 줘도 끝날 일인데. 아마 장군 때문에 내가 그렇게 답답했나 보다.
사람 사이의 오해는 이 책처럼 우스운 오해일 수도, 내 경험처럼 상처가 되는 오해일 수도 있다.
오해가 생겼을 때 한 번만이라도 상대의 입장을 고려해봤으면 좋겠다. 나는 그 안 좋은 습관 때문에 많이 다퉜지만, 반대로 나와 부딪혔던 이들은 대부분 내가 어떤 생각이었는지를 몰랐던 경우였다.
나처럼 인간관계에 아주 예민하고 말 한 마디로 기분이 오르락 내리락하는 사람에게 '오해'나 '다툼'은 치명타이다. 사람들이 위의 두 가지를 늘 기억하며 서로 간에 건강한 관계를 유지했으면 좋겠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