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증인'을 감상하고
주연 배우는 변호사 역을 맡은 정우성과 자폐아 역 김향기다.
김향기는 자신의 건너편 집에 사는 할아버지가 그 집 가정부인 오미란 아줌마에게 살해당하는 모습을 직접 눈으로 목격했다.
그 사건의 피고인으로 교도소에 갇혀 재판을 앞둔 오미란씨의 변호를 맡게 된 순호(정우성)는 사건을 파악해 가기 시작하는데, 지우(김향기)라는 자폐 소녀가 증인으로 재판에 참석한다는 말을 듣고 그 소녀를 찾아간다.
그 과정에서 지우는 장애를 가지고도 또래보다 성숙한 정신적 능력을 갖추고 있는 아이라는 걸 알게 된다.
지우의 증언이 실제로는 진실이라는 걸 사건 조사를 하며 알게 된 순호는 자신의 역할이자 임무인 변호사의 일을 해야 하는지, 진실에 손을 들어야 하는지 갈등하기 시작한다.
순호는 계속되는 고민 끝에 진실에 손을 들어 이 재판이 제대로 된 재판으로 끝나게 하기로 결정한다. 또 변호사가 꿈인 지우에게 이 재판에서 자신의 몫으로 성과를 얻어가는 기쁨을 안겨주는 경험을 하게 해준다.
이 영화의 핵심 카테고리는 지우에게 달려 있다.
'자폐인', '장애인' 이라는 단어에 우린 어떠한 고정관념을 달고 사는가?
영화에서는 자폐가 있는 사람들은 그들만의 세계에 갇혀 있다고 한다. 자기만의 세계에서 나오기가 힘든 그들과 소통하는 방법은, 우리가 그들의 세계로 들어가는 것이다.
"당신은 좋은 사람인가요?" 지우가 순호에게 던진 질문이다.
이 질문에 순호는 자신이 어떤 사람이었는지 되돌아보게 된다. 재판의 결과가 뒤집히게 된 터닝 포인트다.
그 질문이 순호에게만 적용되었을까? 영화는 우리 모두에게 질문하고 있다. 마음을 여는 것보다 닫는 것에 더 익숙해져 버린 우리.
현실과 맞닥뜨렸을 때 <증인>이 준 교훈을 잘 써먹을 수 있기를 바란다. 내 자신에게도, 모두에게도.
김향기는 자신의 건너편 집에 사는 할아버지가 그 집 가정부인 오미란 아줌마에게 살해당하는 모습을 직접 눈으로 목격했다.
그 사건의 피고인으로 교도소에 갇혀 재판을 앞둔 오미란씨의 변호를 맡게 된 순호(정우성)는 사건을 파악해 가기 시작하는데, 지우(김향기)라는 자폐 소녀가 증인으로 재판에 참석한다는 말을 듣고 그 소녀를 찾아간다.
그 과정에서 지우는 장애를 가지고도 또래보다 성숙한 정신적 능력을 갖추고 있는 아이라는 걸 알게 된다.
지우의 증언이 실제로는 진실이라는 걸 사건 조사를 하며 알게 된 순호는 자신의 역할이자 임무인 변호사의 일을 해야 하는지, 진실에 손을 들어야 하는지 갈등하기 시작한다.
순호는 계속되는 고민 끝에 진실에 손을 들어 이 재판이 제대로 된 재판으로 끝나게 하기로 결정한다. 또 변호사가 꿈인 지우에게 이 재판에서 자신의 몫으로 성과를 얻어가는 기쁨을 안겨주는 경험을 하게 해준다.
이 영화의 핵심 카테고리는 지우에게 달려 있다.
'자폐인', '장애인' 이라는 단어에 우린 어떠한 고정관념을 달고 사는가?
영화에서는 자폐가 있는 사람들은 그들만의 세계에 갇혀 있다고 한다. 자기만의 세계에서 나오기가 힘든 그들과 소통하는 방법은, 우리가 그들의 세계로 들어가는 것이다.
"당신은 좋은 사람인가요?" 지우가 순호에게 던진 질문이다.
이 질문에 순호는 자신이 어떤 사람이었는지 되돌아보게 된다. 재판의 결과가 뒤집히게 된 터닝 포인트다.
그 질문이 순호에게만 적용되었을까? 영화는 우리 모두에게 질문하고 있다. 마음을 여는 것보다 닫는 것에 더 익숙해져 버린 우리.
현실과 맞닥뜨렸을 때 <증인>이 준 교훈을 잘 써먹을 수 있기를 바란다. 내 자신에게도, 모두에게도.
댓글
댓글 쓰기